반응형 웹이란?
PC, TV, 내비게이션, 스마트 기기 등 기기마다 또는 환경마다 최적화된 웹사이트를 제공해주는 것.
장점으로는 유지보수가 간편하다는 점, 반응형이기 때문에 마케팅에 유리하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 같다.
그렇다면 유행이라고 무조건 반응형으로 만들어야 할까? 아니다.
상황에 따라 모바일 웹처럼 별도의 사이트를 만드는 것이 더 효율적일수도 있기 때문에 UX 고려해서 잘 만들자!
핵심 기술 - 가변 그리드(Fluid Grid)
가변 그리드란 웹사이트를 제작할 때 화면의 크기에 관계없이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픽셀 대신 %로 제작하는 기술.
아래 이미지처럼 가로 너비에 따라 폭에 맞게끔 박스 크기가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 |
![]() |
핵심 기술 - 미디어쿼리(Media Queries)
미디어쿼리란 컴퓨터나 기기에게 어떤 종류의 미디어인지,
화면 크기는 어느정도인지 질문하고 이를 감지하여 웹사이트를 변경하는 기술.
컴퓨터나 기기의 환경과 종류를 감지해야 그것에 맞게 웹사이트의 구조를 바꿀 수 있기에 필요한 기술이라고 함.
핵심 기술 - 뷰포트(Viewport)
뷰포트란 화면에 보이는 영역을 제어하는 기술로 미디어쿼리로 수많은 기기의 화면 크기를 감지해야 할 때 필요.
위와 같은 코드로 뷰포트를 지정해 줄 수 있는데 width = device-width는 페이지 너비를 기기의 스크린 너비로 지정, initial-scale=1은 처음 페이지 로딩시 확대/축소가 되지 않은 원래 크기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 정도만 알아두자.
핵심 기술 - 플랙서블 박스(Flexible Box)
단어 그대로 가변적인 박스를 만드는 기술인 동시에 웹사이트의 구조 설계를 위한 기술.
위와 같이 하나의 페이지의 전체적인 구조를 먼저 잡고 시작할 때 유용하단.
'Book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IT! 반응형 웹 만들기_부록 (0) | 2022.03.10 |
---|---|
DOIT! 반응형 웹 만들기_셋째마당 (0) | 2022.03.10 |
DOIT! 반응형 웹 만들기_둘째마당 (0) | 2022.03.08 |
자바와 JUnit을 활용한 단위테스트_02 (2) | 2022.02.10 |
자바와 JUnit을 활용한 단위테스트_01 (0) | 2022.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