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송 계층

starlikedh
|2023. 7. 16. 20:36

전송 계층 개요

목적지까지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가에 초점.
또한 오류 점검 및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식별하며 데이터의 단위는 세그먼트 단위.
신뢰성과 정확성에 초점을 둔 전송 방식은 연결을 필요로 함.
효율성에 초점을 둔 전송 방식의 일방적으로 빠르게 하는 비연결형 통신.

 

TCP세그먼트 TCP헤더

TCP 세그먼트는 캡슐화 시 TCP 헤더를 부착하고 역캡슐화시 TCP 헤더 제거.
TCP 헤더는 아래와 같은 구조로 되어있음.

 

3-way hanshake, 4-way hanshake

TCP 통신 과정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결 상태 가상의 통신로 확보해야 함.
TCP 헤더 중 6비트로 구성된 코드비트가 연결 확립과 종료 과정에서 중요 역할.

초기값은 모두 0이고 이게 활성화되면 1로 바뀌면서 전송 가능해짐.

3-way hanshake(연결 확립)

4-way handshake(연결 종료)

TCP 에러제어

세그먼트가 손실 및 훼손되었을 때, 순서가 어긋났을 때, 중복되었을 때 등 이에 대한 처리를 함.
에러 검출 이후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을 사용해서 에러 정정 과정을 거침.
에러 정정의 방식으로 재전송의 방식을 사용하는 데 이를 통해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가능해짐.

 

TCP 흐름제어

송수신지의 데이터 처리 능력이 달라 데이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법.

Stop-and-Wait 기법
: 모든 패킷에 대하여 확인 응답을 받아야만 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비효율적이라는 단점 존재.

Sliding Window 기법
: 각 송수신지에 있는 슬라이딩 윈도우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계속해서 자신의 윈도우 크기를 상대에게 알려주는 윈도우 광고 기법 사용.

 

TCP 혼잡제어

네트워크에서 어떤 때는 데이터의 수가 과도하게 증가하기도 하고 데이터가 유실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상황을 혼잡상황이라 함.
혼잡 발생 전 : Slow Start, Additive Increase
혼잡 발생 후 : Multiplicative Decrease

포트 번호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구분’ 하는 기능
Well-Known 포트는 국제 인터넷 주소 관리 기구에서 지정한 0 ~ 1023번까지의 포트로 주로 서버용으로 사용.

UDP(User Datagram Protocol)

UDP 헤더가 데이터에 붙게 되면 UDP 데이터그램 혹은 세그먼트라고 칭함.
UDP 헤더는 출발지 포트 번호, 목적지 포트 번호, 길이, 체크섬으로 구성되어 있음.
TCP와 달리 일방적으로 일괄적으로 데이터 전송해서 브로드캐스팅 방식에 적합.

'DevOps&Infra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선 LAN  (0) 2023.08.19
응용 계층  (0) 2023.08.05
네트워크 계층  (0) 2023.07.02
데이터링크 계층  (0) 2023.06.01
물리 계층  (0) 2023.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