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선 케이블 없이 LAN을 구축할 수 있는 기술.
-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아 배선이 꼬일 일이 없어 편리하지만 유선보다 속도가 불안정.
- 무선 랜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랜 클라이언트로 구성.
- 액세스 포인트를 유선 이더넷에 연결함으로써 무선 클라이언트들이 유선 이더넷의 서버와 통신할 수 있게 됨.
- 연결 방식으로는 두 가지가 존재
- 인프라스트럭처 방식 : 무선 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데이터 통신하는 방식연결 방식으로는 두 가지가 존재
- 애드혹 방식 : 기반이 되는 액세스 포인트 없이도 무선 클라이언트들 끼리 직접 통신하는 방식
![]() |
![]() |
'DevOps&Infra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용 계층 (0) | 2023.08.05 |
---|---|
전송 계층 (0) | 2023.07.16 |
네트워크 계층 (0) | 2023.07.02 |
데이터링크 계층 (0) | 2023.06.01 |
물리 계층 (0) | 2023.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