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3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3)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ping -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시켜 주는 명령어. 옵션으로는 -c[요청 수], -i[초], -s[패킷 크기]가 존재함. traceroute - 목적지 호스트까지의 경로를 표시하고 그 구간의 정보를 기록하는 명령어. 목적지 호스트로 향하는 경로상에 어떤 장애가 있는 경우 위치 파악 가능. nslookup(DNS) - 도메인명으로 IP 주소를 조회하거나 또는 IP 주소로 도메인명을 조회하는 명령어. dig(domain information groper) - 호스트명에 대한 IP 주소 정보 또는 IP 주소에 대한 호스트명을 조회하는 명령어 서버명 지정하지 않을 경우 /etc/resolv에 등록된 네임 서버를 이용하여 루트 서버 조회. host - 호스트명..
2022.07.30
01-3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2)
디렉터리 관련 명령어 pwd -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의 위치를 나타내는 명령어 cd -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터리를 이동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절대 경로의 시작은 /(루트) 에서부터 시작 mkdir - 새로운 디렉터리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rmdir - 디렉터리만 삭제하는 명령어로 디렉터리 안에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삭제되지 않음 파일 관련 명령어 ls - 현재 위치한 디렉터리의 파일 목록들을 나타내는 명령어 옵션 -a를 주면 히든 파일을 포함한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 표시, -l을 주면 자세한 정보 표시 cp - 파일 또는 디렉터리를 복사하는 명령어 옵션 -b를 주면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를 대비하여 백업 파일을 만들고, 옵션 -f를 주면 복사 대상이 이미 존재할 경우..
2022.07.30
01-3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1)
리눅스 명령어 개요 which - 명령어의 경로를 확인하는 명령어로 $PATH가 설정되어 있는 경로에서만 해당 명령어 경로를 찾음. ex) which httpd, which pwd alias -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특정 문자로 입력해 두고 명령어 대신 해당 문자를 사용할 수 있게 함. ex) alias m='ls -al | more' unalias - alias 기능을 해제. 환경변수 PATH - 실행 파일들의 디렉터리 위치를 저장해 놓은 환경 변수. 명령어 echo $PATH는 지정된 PATH값을 확인할 수 있음. 기존 PATH에 새 경로 추가 방법에는 명령어 PATH나 홈 디렉터리의 .bash_profile에 추가. 리눅스 도움말 man -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들의 메뉴얼을 제공. ex) m..
2022.07.27
01-2 리눅스의 설치
리눅스 설치의 개요 리눅스 배포판마다 설치 환경과 과정이 다름. 설치 유형은 배포판마다 다르지만 패키지에 따라 데스크톱형, 서버형, 사용자 정의형으로 구분. 설치 전 시스템 패일 백업해두기!! 멀티 부팅 시스템을 만든다면 현재 운영체제의 배포 미디어를 가지고 있어야 함. 부팅 드라이버를 다시 파티션 하는 경우라면 운영체제의 부트로더 재설치 필요. 리눅스 설치를 위한 하드웨어 정보 파악 CPU,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TCP/IP 속성 정보 확인), 모니터 해상도 등 정보 파악. 제조사의 웹사이트 같은 곳에서 하드웨어 호환성 목록 확인. 호스트명과 도메인, 컴퓨터의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주소, DNS 서버 주소 등 시스템 관리자는 네트워크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알..
2022.07.26
01-1 리눅스의 이해
리눅스의 특징 오픈 소스 운영체제. 멀티유저, 멀티태스킹(작업이 없는 상태에서도 다른 작업이 cpu 점유 가능) 운영체제. 다중 스레드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운영체제. 여기서 스레드란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작업을 의미하고,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이 CPU를 할당받아 업무 처리하는 즉 동적 상태를 의미. 여러 종류의 파일 시스템을 지원하는 운영체제(ex2, ex3, ex4, DOS, FAT16 FAT32, NTFS 등등) 리눅스의 장단점 유닉스와 완벽하게 호환 가능하며 POSIX 규격을 따르고 있음. PC용 운영체제보다 안정적. 특별한 사항을 제외하고 항상 켜 놓아도 안정적으로 운영됨. 하드웨어 기능을 효과적으로 사용. 즉 다른 운영체제보다 적은 양의 메모리를 필요로 함. SWAP 방식을 통해 램이 부족한 ..
2022.07.16
no image
HTTP 웹 기본 지식_캐시와 조건부 요청
캐시 기본 동작 캐시가 없을 때에는,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아도 계속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다운받아야 한다. 이렇게 되면 인터넷 네트워크는 매우 느려지고 로딩 속도도 느려지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캐시를 적용하게 된다면 첫 번째 요청이 올 시, 위와 같이 요청받아서 웹브라우저에 별을 띄워 주고 응답 결과를 캐시에 저장한다. 여기서 두 번째 요청이 온다면????? 캐시에서 조회해서 브라우저에 별을 띄워줄 수 있다. 즉 캐시 기능 시간 동안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빠른 로딩 속도, 빠른 사용자 경험을 할 수 있다. 그럼 여기서 만약 캐시 유효 시간이 초과한다면??? 위와 같이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다시 조회하고 캐시를 갱신하게 된다. 이때 다시 네트워크 다운로드도 발생한다. 검증 헤더와 조건부..
2022.03.24
no image
HTTP 웹 기본 지식_HTTP 일반 헤더
HTTP 헤더 개요 HTTP 헤더의 용도란 HTTP 전송에 필요한 모든 부가정보가 들어가 있는 것이다. 표준 헤더는 많고도 많다..필요시 임의의 헤더도 추가가 가능하다고 한다. 과거에는 General 헤더, Request 헤더, Response 헤더, Entity 헤더로 구분했다. 그런데.. 2014년 RFC7230~ 7235의 등장으로 엔티티 -> 표현. 표현 = 표현 메타데이터 + 표현 데이터로 변화. 메시지 본문을 통해 표현 데이터를 전달하고 표현 헤더는 표현 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그런거.. 표현 구체적으로 표현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표현 헤더는 전송, 응답 둘 다 사용한다는 것 잊지 말기! Content-Type은 표현 데이터 형식의 설명으로 미디어 타입, 문..
2022.03.24
no image
HTTP 웹 기본 지식_HTTP 상태코드
HTTP 상태 코드 소개 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 처리 상태를 응답에서 알려주는 기능. 주로 2xx - 요청 정상 처리, 4xx - 클라이언트 오류, 5xx- 서버 오류 정도 기억해두자. 만약 모르는 상태 코드가 나타난다면?? 클라이언트는 상위 상태 코드로 해석해서 처리한다. 예를 들어 299가 ???? -> 2xx(Successful) 1xx는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 중인 것을 뜻하는데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2xx - 성공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성공적으로 처리함을 뜻한다. 제일 많이 봤을법한 200 OK. 201 Created는 post로 뭔가 등록했을 때 요청 성공해서 새로운 리소스 생성을 알려준다. 204 No Content는 서버가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지만, 응답 페이로드 본문에 보낼 데이..
2022.03.24
no image
HTTP 웹 기본 지식_HTTP 메서드 활용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 전송 데이터 전달 방식은 크게 2가지 - 쿼리 파라미터를 통한 데이터 전송(GET, 정렬 필터) - 메시지 바디를 통한 데이터 전송(POST, PUT, PATCH) 정적 데이터 조회 - 이미지, 정적 텍스트 문서. 조회는 GET 사용. - 정적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쿼리 파라미터 없이 리소스 경로로 단순하게 조회 가능. 동적 데이터 조회 - 주로 검색, 게시판 목록에서 정렬 필터. - 조회 조건을 줄여주는 필터, 조회 결과를 정렬하는 정렬 조건에 주로 사용. HTML Form을 통한 데이터 전송 - HTML Form submit시 POST 전송. - Content-Type: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사용, form의 내용을 메시지 바디를 통해..
2022.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