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1. ping -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시켜 주는 명령어.
    옵션으로는 -c[요청 수], -i[초], -s[패킷 크기]가 존재함.

  2. traceroute - 목적지 호스트까지의 경로를 표시하고 그 구간의 정보를 기록하는 명령어.
    목적지 호스트로 향하는 경로상에 어떤 장애가 있는 경우 위치 파악 가능.

  3. nslookup(DNS) - 도메인명으로 IP 주소를 조회하거나 또는 IP 주소로 도메인명을 조회하는 명령어.

  4. dig(domain information groper) - 호스트명에 대한 IP 주소 정보 또는 IP 주소에 대한 호스트명을 조회하는 명령어
    서버명 지정하지 않을 경우 /etc/resolv에 등록된 네임 서버를 이용하여 루트 서버 조회.
  5. host - 호스트명을 알고 있는데 IP 주소를 모르거나 그 반대의 경우 사용하는 명령어.

  6. hostname - 시스템 이름을 확인하거나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시스템 종료 명령어

  1. shutdown - 시스템을 종료하거나 재부팅하는 명령어이자 root 사용자만이 권한을 가지고 있는 명령어.
  2. init - shutdown 명령어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명령어로 런레벨 존재.
    레벨 0은 즉시 종료, 레벨 5는 X 윈도우 모드로 재시작, 레벨 6은 재부팅.
  3. reboot - 시스템을 재부팅하는 명령어
  4. halt - 시스템을 종료하는 명령어. -f 옵션과 함께 사용 시 강제종료.

기타 명령어(유틸리티, 작업 운영의 편의 위해서)

  1. cal - 시스템에 설정된 달력을 출력하는 명령어로 옵션 없이 실행시킬 시 현재 시스템 날짜로 기록된 달 출력.
  2. date - 시스템의 날짜와 시간을 표시하거나 변경.
  3. clear - 터미널의 내용을 지우는 명령어.
  4. tty -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 장치의 경로명과 파일명을 나타냄.
  5. time -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명령어로 셸 스크립트 작성이나 간단한 성능 체크에 유용.
    real은 총 수행시간, user는 CPU가 사용자 영역에서 보낸 시간, sys는 시스템 호출 실행에 걸린 시간을 뜻함.
  6. wall - 모든 로그인된 사용자들에게 터미널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명령어.
  7. write - 해당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명령어.
  8. mesg - write를 사용해서 들어오는 메시지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제어하는 명령어.

'DevOps&Infra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2 셸(Shell)  (0) 2022.08.28
02-1 파일 시스템 관련 명령어  (0) 2022.08.28
01-3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2)  (0) 2022.07.30
01-3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1)  (0) 2022.07.27
01-2 리눅스의 설치  (0) 2022.07.26